옵션 4

철권8 RTX 2070 그래픽 설정 최적화 셋팅

죽지도 않는 RTX 2070. 철권 7은 QHD 상옵, UHD 하옵이 가능했으나 철권 8에서는 어느 정도 일지 알아보자 기존에 작성했던 GTX 1060, RTX 4070 같이 극단적으로 약한 놈, 쎈놈을 테스트하는 것보다 2070처럼 어중간하고 제한적인 성능 내에서 옵션을 찾는 재미가 있다.  벤치마크 점수는 313점 정도 나오며 FHD에서 렌더링80에 상옵, QHD에서 렌더링 60에 상옵, UHD에서 렌더링 40에 상옵을 기본으로 잡아준다. 쉽게 말해 저 설정에서는 원활한 플레이를 보장한다는 소리다. FHD은 원래 권장사양이니 당연히 잘 될거라 치고 QHD UHD에서도 그래픽을 꽤 괜찮게 플레이할 수 있어 보인다. 기본설정은 기본설정이고 60프레임을 유지하면서 품질을 최대한 땡기는 설정을 찾도록 하겠다..

철권8 GTX 1060 6GB 그래픽 설정 최적화 셋팅

죽지도 않는 GTX 1060. 철권 7은 원활했으나 철권 8에서는 최소사양을 겨우 넘긴 수준의 성능이다. 여유 있는 철권 할배들은 이미 그래픽카드를 업그레이드했겠지만 없으면 없는 대로 살아야 한다. 5개월 간의 설정 연구의 결과를 공유하며, 본래 지포스 익스피리언스나 엔비디아 앱에서 게임 최적화를 지원하면 그것과 비교하며 내 선택이 옳았음을 증명하고자 했으나 이것들은 아직도 최적화를 지원하지도 않고 게임 서비스 접겠다 임마  대충 벤치마크 점수는 200점을 조금 넘기며 자동설정값은 렌더링 40, Catmull-Rom bicubic 업스케일링, 나머지는 모두 저옵이다. 쉽게 말해 저 설정에서는 원활한 플레이를 보장한다는 소리다.  하지만 저 설정은 CNT CBT와 데모버전에서도 동일하게 설정되던 것으로 지..

팟 플레이어 동영상 옵션 최적화 설정 강좌 2탄 (2021에디션)

이제는 다음 팟 플레이어가 아니라 카카오 팟 플레이어다. 2011년에 같은 제목의 게시물을 작성한 적이 있고 당시에도 딱히 쓸모있는 글은 아니었으나 지금에서는 아예 가치가 없는 내용이라 2014년에 삭제는 안하고 써논게 아까워서 걍 냅둔다는 말만 추가해 놨었다. 글쓴지 딱 10년이 되었는데 예나 지금이나 팟플만한 동영상 재생기가 없다. 그때는 컴 사양이 구려서 영상재생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는 설정을 찾았다면, 지금은 그럴 걱정이 없으니 몇가지 팁과 설정이나 짧게 소개할까 한다. 우선 본인이 보통 사용하는 화면 모습이다. QHD 2560*1440 해상도에서 절반 짤라 왼쪽에 인터넷 브라우저 띄워 놓고 우하단에 HD 1280*720 크기로 팟플을 켜논다. 재밌는 장면 나올 때 엔터치면 전체화면 되니..

팟 플레이어 동영상 옵션 최적화 설정 강좌

이거 보지 말고 밑에 주소로 들어가서 보샘 https://savage3d.tistory.com/521 팟 플레이어 동영상 옵션 최적화 설정 강좌 2탄 (2021에디션) 이제는 다음 팟 플레이어가 아니라 카카오 팟 플레이어다. 2011년에 같은 제목의 게시물을 작성한 적이 있고 당시에도 딱히 쓸모있는 글은 아니었으나 지금에서는 아예 가치가 없는 내용이라 2014 savage3d.tistory.com ----------------------------------------------------------------------- (2014.1.21 추가) 1월16일자로 업데이트된 1.5.44407 버전 이후로 모든 내장코덱이 멀티스레드를 지원하도록 변경되었으며 렌더러(EVR(Vista/ .Net3)) 사용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