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 연구소 126

3DMark 모든 도전과제를 달성하다

점수놀이의 근본 유틸리티 3D Mark. MadOnion과 FutureMark를 지나 요새는 UL Solutions? 인가하는 데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듯하다. 이름만 바꾼 것 같기도 하고.. 새로운 버전이 나올 때 마다 사용자들은 1만 점의 벽을 넘기기 위해 안간힘을 썼더랬다. 예전에는 뒤에 출시연도를 붙여서 버전 업을 했었지만 이제는 그냥 3DMark라는 이름을 유지한 채 기능 추가만 하고 있다.  3D Mark의 역사. 25년이 넘어간다능.. 시리얼 키를 공개해도 되냐고? 웹 사이트에 레거시로 올라와 있으니까 상관없겠지. 놀랍게도 아직도 저 지원도 끝난 벤치마크툴을 사용해서 점수 경쟁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RTX 4090이랑 5090으로 저걸 돌려서 뭐하는지..  본론으로 돌아와서 3DMark ..

Turbo Boost MAX, C-State, LLC 테스트

MoKiChU가 Intel ME (H510/B560/H570/Z590) 최신버전을 올려서 업데이트해 봤다. 뭐가 좋아지는 건지는 모른다. 바이오스에서는 ME FW를 올리고 윈도우에서는 ME Interface 드라이버를 올린다. ME야 뭐 Management Engine 일거고. 용도에 관해서는 인텔 직원들도 잘 모르는 것 같으니 최신화했다는 기분만 내고 마무리한다.  바이오스에는 C-State라는 절전 기술을 볼 수 있다. C1E, C6, C7, Package C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단계에 따라서 절전이 강화된다. 하지만 발동 조건이 까다롭고 절전 효과가 높지 않다. 발동 조건이라 함은 컴퓨터를 켜놓고 진짜 아무것도 하지 않아야 전력소모가 낮아지고 마우스도 절대 조금이라도 까딱 하면 안 된다. 진짜 ..

플스5프로 공식 지원 모니터 펌웨어일까? 오디세이 G7 v1009.0

https://www.samsung.com/sec/support/model/LS28AG700NKXKR/ Samsung 대한민국 www.samsung.com28인치 IPS 4K 144Hz 스펙이었던 삼성 Odyssey G7 모니터. G7A라고도 하고 G70A라고도 한다. 풀모델명은 S28AG700 이고 줄여서 S28이라고 불렀었다. 후속제품이 S28BG700이었지... 정말로 뜬금없다. 3년 전에 출시한 모니터의 최신 펌웨어가 갑자기 나온다고? 사후지원 계속해 주는 건 좋은데 이전 펌웨어인 1008.1 버전은 2022년 3월 31일에 나왔었다. 2년 6개월도 더 지난 시점에, 그것도 단종된 모니터인데 펌웨어를 줬다. 이유는 뭐지? 예상되는 부분이 있긴 하지만 아무튼 좋다 업데이트 ㄱ  펌웨어 용량은 대충 ..

철권8 Arc A770 16GB 그래픽 설정 방법 (XeSS 위주)

인텔의 야심작 아크. DX9 게임은 D3D9On12로 맵핑해서 구동한다고 하고 DX11 게임은 열심히 최적화하고 있지만 아직 스펙만큼 성능을 끌어내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철권 8은 DX12에 언리얼 5 엔진으로 만든 게임이다. 아크 시리즈는 DX12 Ultimate를 완벽 지원하며 최신 유명게임을 우선으로 최적화를 해주기 때문에 철권 8에서 많은 기대가 되는 부분이다. 그도 그럴 것이 3DMARK의 DX12 테스트인 Steel Nomad에서 4060ti 16G와 3070 사이의 점수가 나왔었다.  아크는 철권8 정식 출시 이틀 전 1월 24일에 5186 드라이버를 배포하며 4K에서 최대 15% 성능을 향상했다고 주장했다. (– Tekken 8 (DX12): Up to 15% average FPS..

Core i7 11700K & JUHOR DDR4 3600 32GB

애즈락 기술팀에게 메일로 11세대 메인보드의 지원이 소홀함을 질책했더니 반성하는 모습을 보이며 Z590 Steel Legend의 최신 마이크로코드를 업데이트한 바이오스를 만들어서 보내줬다. 웹 사이트에는 없는 내 전용 버전으로 마이크로코드는 2024년 8월 13일 자 62 버전이다. 보나 마나 보안과 결함 패치겠지만 최신화해서 기분은 좋다. 성능 관련 업데이트였으면 좋았겠지만 아마 성능은 소폭 하락하지 않았을까 싶음. 램 업글을 하고 싶다는 생각은 3년 전부터 있었지만 32GB로 부족한가? 클럭을 높인다고 성능이 체감되나? 같은 생각으로 굉장히 오랫동안 망설이고 있었다. 하면 하는 거고 말면 마는 거지 같은 느낌?  이건 못 참지  추석 연휴 첫날에 주문했는데 연휴 끝나고 다음날 바로 날아왔다 패키지에는..

철권8 GTX 1060 6GB 그래픽 카드 최적화 설정

명절에는 민속놀이를 해야 되고 추석연휴도 맞이한 김에 철권8 지포스 성능향상 방법을 써보려 한다. GTX1060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지포스 보편적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GTX1070도 GTX1080도 RTX2060도, RTX3060도 다 되는 설정이다. 철권8 최소사양이 GTX1050 4G인데 1060으로 어떻게 하냐고~~ 말 그대로다. 최소사양을 넘겼기 때문에 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은 유물 취급받지만 사실 1050과 1060은 성능차이가 꽤 난다. 다만 GTX1060 제품 중에는 6GB 모델이 아닌 3GB 모델도 있다. 테스트해 보면 최저옵으로 해도 VRAM을 4GB 이상 처먹는 겜이기 때문에 3G로는 부족하다. 없어서 실험은 못해봤지만 1050 4GB보다 1060 3GB가 더 느릴 수도 있을걸?..

[SPARKLE] Arc A770 TITAN OC D6 16GB 리뷰

인텔에서 외장형 그래픽카드를 출시했다. 이름은 아크라고 한다. 최근에 나온 건 아니고 2022년에 나왔다 음 인텔 그래픽? 걔네 그래픽 감속기 만드는 애들 아님? 외장으로 만들면 다른가? 내장그래픽은 2D 성능에 그동안 문제가 없었고 비디오 가속 기능은 매우 뛰어나다. 오히려 불만이 없을 정도. 그런데 3D 성능은? 라라비 프로젝트가 엎어진 적도 있었고 3D가속 쪽은 그닥 믿음이 안 가서 평소 같았으면 거들떠도 안 볼 제품이었겠지만 이놈을 구매해 본 이유는 딱 하나다  야 이거 뭐냐.. XeSS? 쩨스 라고 읽는 건가? DLSS, FSR2 처럼 딥러닝 업스케일러 라고 한다. 아크만 쓸 수 있는 건 아닌데 따로 전용 칩이 없으면 성능이 잘 안 나온다고 해서 너무나도 궁금한 나머지 구매하지 않을 수 없었다 ..

철권8 RTX 2070 그래픽 설정 최적화 셋팅

죽지도 않는 RTX 2070. 철권 7은 QHD 상옵, UHD 하옵이 가능했으나 철권 8에서는 어느 정도 일지 알아보자 기존에 작성했던 GTX 1060, RTX 4070 같이 극단적으로 약한 놈, 쎈놈을 테스트하는 것보다 2070처럼 어중간하고 제한적인 성능 내에서 옵션을 찾는 재미가 있다.  벤치마크 점수는 313점 정도 나오며 FHD에서 렌더링80에 상옵, QHD에서 렌더링 60에 상옵, UHD에서 렌더링 40에 상옵을 기본으로 잡아준다. 쉽게 말해 저 설정에서는 원활한 플레이를 보장한다는 소리다. FHD은 원래 권장사양이니 당연히 잘 될거라 치고 QHD UHD에서도 그래픽을 꽤 괜찮게 플레이할 수 있어 보인다. 기본설정은 기본설정이고 60프레임을 유지하면서 품질을 최대한 땡기는 설정을 찾도록 하겠다..

철권8 RTX 4070 그래픽 설정 최적화 셋팅

죽지도 않는 RTX 4070. 철권 7은 4K 울트라옵이 가능했으나 철권 8에서는 어느 정도 일지 알아보자  벤치마크 점수는 680점이 나오며 렌더링70에 FSR 1.0, 최고옵을 기본으로 잡아준다. 쉽게 말해 저 설정에서는 원활한 플레이를 보장한다는 소리다. 그런데 렌더링 70이면 DLSS 품질이 66.7%인데 뭘 골라야 할지 고민이 늘어난다. 아니 근데 4070으로도 4K UHD 풀옵이 안돼?  우선 QHD 2560x1440 해상도로는 때려죽여도 풀 옵이 가능하다. TSR을 고르건, 캐릭을 세 개 고르건 완벽풀옵이다. UHD에 렌더링 70이면 대충 QHD니까 그냥 딱 여기까지가 4070의 한계일까? 실제로 4K에서 렌더링 100으로 게임하면 군데군데 프레임 저하가 일어난다. 못할 정도는 아닌데 60 ..

철권8 GTX 1060 6GB 그래픽 설정 최적화 셋팅

죽지도 않는 GTX 1060. 철권 7은 원활했으나 철권 8에서는 최소사양을 겨우 넘긴 수준의 성능이다. 여유 있는 철권 할배들은 이미 그래픽카드를 업그레이드했겠지만 없으면 없는 대로 살아야 한다. 5개월 간의 설정 연구의 결과를 공유하며, 본래 지포스 익스피리언스나 엔비디아 앱에서 게임 최적화를 지원하면 그것과 비교하며 내 선택이 옳았음을 증명하고자 했으나 이것들은 아직도 최적화를 지원하지도 않고 게임 서비스 접겠다 임마  대충 벤치마크 점수는 200점을 조금 넘기며 자동설정값은 렌더링 40, Catmull-Rom bicubic 업스케일링, 나머지는 모두 저옵이다. 쉽게 말해 저 설정에서는 원활한 플레이를 보장한다는 소리다.  하지만 저 설정은 CNT CBT와 데모버전에서도 동일하게 설정되던 것으로 지..

be quiet SILENT WINGS 4 PWM high-speed 120mm

네이버에서 멤버십 이용자 대상으로 10만 원 이상 구매 시에 8천 원 할인 쿠폰을 줘서 이걸 어따쓸까 고민하다가 팬을 구매해 봤다. 토탈 96700원이 들었으니 개당 32233원 되시겠다. 비콰이어트는 예전에 케이스 한번 구매해 봤고 특징은 일단 비싸다. 팬도 하나에 3만 원이 넘으니 저렴한 편은 아니지만 그래도 녹투아보다는 저렴하다. 게다가 스펙 상으로 2500 RPM까지 가능하다고 하니 1600~1800 RPM이 대부분인 120mm 팬 중에서도 속도가 빨라 쿨링 면에서 이점이 있을 것이다.  팬 따위야 그냥 비닐봉투에 넣어서 팔아도 상관없지만 가격대가 있다 보니 고오급스럽게 박스 안에 또 박스가 있다.  일반적인 나사와 고무나사가 있고 팬구멍을 교체할 수 있는 악세사리도 들어있다.  팬이 다 비슷비슷..

최후의 윈도우 최적화 툴 Advanced SystemCare 16 (Pro와 Free의 차이점)

윈도우 최적화 유틸리티(프로그램)를 소개할 때마다 자주 듣는 말이 있다. "윈도우 좋아졌고 컴퓨터 성능도 남아돌고 그냥 써도 빠른데 이런 거 왜 씀? 순정이 최고지~ 괜히 건드렸다가 오히려 불안정해지는 거 아님?" 틀린 말은 아니다. 실제로 8코어 CPU와 32GB RAM, 2TB SSD가 기본사양이 된 지금은 성능이 남아돌다 못해 허무함마저 느끼게 한다. 오히려 성능을 제한해 절전을 꾀하는 유저들도 늘고 있다(이건 본인은 10년 전부터 연구한 거지만). 흔하게 보이던 최적화 유틸도 눈에 띄게 줄었다. 손에 꼽을 정도로 줄었다. Tweak 이나, Optimize 등의 그럴싸한 단어가 붙어있던 유틸리티들은 이제 세상에 없다.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순수한 성능을 갈망하던 어린 소년이었던 본인은..

SpyderX2 Ultra로 모니터 캘리 후기

드디어 스파이더X 후속제품이 나왔다. 스파이더X2 라고 한다. 생긴 건 기존제품과 동일하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USB-C 타입으로 변경되었고 젠더를 껴줘서 일반적인 A 타입에서 사용할 수 있다. 기본적인 특징은 이게 끝이고 프로, 엘리트에 이어서 울트라 모델까지 선보였다. 이전에는 프로 밑에 에센셜? 인가몬가 라인업이 하나 더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다만 프로 라인업은 기존 SpyderX 모델을 계속 사용하는 것 같고 Pro, Ultra 라인만 X2로 대체되었다. Ultra가 왜 나왔는고 알아보니 고휘도, HDR 시대에 맞춰서 휘도를 2000까지 측정이 가능한가 보다. 자세한 건 데이터컬러 사이트 검색 본인은 세대마다 구매하지는 않았고 3, 5, X2 순으로 한세대씩 뛰어서 구매했었다. 스파이더 3프로..

바이오스 Update Intel Microcode 는 성능을 향상시킬까?

반년도 한참 지나서 ASRock Z590 Steel Legend 메인보드의 신규 바이오스가 업데이트되었다. 타사 보드는 1월에도 업데이트된 내역이 있는데 이번에는 애즈락이 늦었다. 12세대 보드 업데이트 때문에 우선순위에서 밀렸으리라. 2.00 버전의 업데이트 내역은 Update Intel Microcode 이게 끝이다. 뭐가 바뀐 것일까? 상상에 맡길 수밖에 없다. 인텔이 마이크로코드를 배포했고, 보드 제조사가 받아서 바이오스를 뿌렸다. 최근에는 스펙터, 멜트다운이라던가 보안 이슈도 없었고 성능 하락 같은 이야기도 없었기 때문에 그냥 '뭔가 좋아졌겠지' 생각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혹시 인텔느님이 11세대 성능을 올려주지 않았을까..? 기대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간단히 벤치 3종을 돌려보았다. 참고로..

변태개조를 해 버린 INNO3D RTX 2070 팬 교체

원래 이름은 RTX 2070 TWIN X2이지만 국내에는 RTX 2070 D6 8GB X2로 출시한 그래픽카드다. 예전에도 팬이 메롱 해져서 한번 교체를 받았었고 이번에는 워런티가 끝나서 팬을 직접 알리에서 구매해서 교체해 보았다. 워런티 종료 후에도 팬 재고가 있으면 유상으로 교체를 해 주는 모양이지만 할 짓도 없고 해서 시도해보는 것이다. 아주 문제가 있었던 건 아니고 제로팬이 풀릴 때 팬 하나가 계속 끼릭거리는 게 거슬렸다. 내가 쓰는 건 2팬인데 3 팬용밖에 팔지 않았다. 팬 이름은 CF-12815S 독자 규격을 쓰는지 생긴 것도 그지 같아서 호환되는 제품도 없다. 어쩌나 그냥 사야지. 두 개 쓰고 하나 스페어로 냅두면 되겠다는 생각이다. 이번에는 알리가 네이버페이 결제를 지원하는 것을 알게 되어..